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실업급여 신청방법부터 조건, 준비서류, 온라인 신청 절차까지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 빠르게 실업급여 신청하려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실업급여 신청방법
온라인, 방문신청 두 가지 방법으로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실업급여 온라인 신청
1.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
2. 회원가입 및 로그인
3.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 클릭
4. 본인인증 및 이직확인서 확인
5. 신청서 작성 및 서류 업로드
6. 교육 이수 (온라인 가능)
7. 실업인정일 등록 및 구직활동 계획 수립
실업급여 방문 신청
1. 가까운 고용센터 찾기
2. 신분증, 통장사본, 이직확인서 확인
3.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서 작성
4. 담당자 상담 후 구직활동 계획서 작성
5. 실업인정일 예약
모바일 고용24 다운로드하기
고용24를 핸드폰에 다운로드하면 매번 홈페이지를 방문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고용24에 자동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다운로드(안드로이드, 앱스토어)를 원하시면 아래 링크로 이동하여 다운로드 받으세요.
실업급여란?
실업급여는 근로자가 비자발적으로 이직했을 때, 구직활동을 하는 동안 일정 금액을 지급해 생계유지를 돕고 재취업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라면 일정 조건만 충족하면 신청할 수 있어요.
2025년 실업급여 신청 자격
2025년 기준, 실업급여 신청을 위해선 아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고용보험 가입기간 180일 이상
- 비자발적 퇴사(권고사직, 계약만료, 회사 사정 등)
- 적극적인 구직활동 의지
퇴사 후 12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하며, 실업인정일마다 구직활동을 인증받아야 수급이 가능합니다.
준비서류
실업급여 신청을 위해 아래 서류를 준비해주세요.
- 이직확인서 (회사 제출)
- 신분증
- 통장사본
- 고용보험 가입 이력 확인서
- 실업급여 수급자격 인정 신청서 (온라인 가능)
※ 이직확인서는 회사가 고용보험 홈페이지를 통해 전송해주어야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실업급여 지급일과 금액
실업급여는 실업인정일 기준 14일 이내 지급되며, 2025년 지급금액은 퇴사 전 평균임금의 60~70%로 지급됩니다.
1일 지급액 = (퇴직 전 평균임금 × 60%) × 지급일수
※ 최소 60일 ~ 최대 270일까지 수급 가능
자주 묻는 질문
Q. 자발적 퇴사도 받을 수 있나요?
A. 원칙적으로 불가하지만, 임금체불, 직장 내 괴롭힘, 건강상의 이유 등 예외 사유가 인정되면 가능합니다.
Q. 구직활동 인정 기준은?
A. 구직사이트 이력서 등록, 채용공고 지원, 면접참석, 온라인 교육 수강 등이 해당됩니다.